과정소개

제과제빵

로케이션
» Home > 과정소개 > 제과제빵

정보보안(4차 산업혁명의 핵심)

1. 정보보안

- 정보보안은 시스템,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과 관련된 기반 지식을 가지고 조직의 정보 자산을 관리적, 물리적, 기술적 보안관점에서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뜻합니다.

- 시스템, 네트워크 등 정보시스템의 동작 로직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보안적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여 높은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- 모의해킹을 통해 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보안 취약점을 점검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, 로그를 분석하여 해킹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하여 침해사고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.

2. 정보보안의 필요성

- 4차 산업혁명으로 IT기술이 폭발적인 성장함으로써 정보시스템의 중요도 높아지고 정보시스템을 내/외부적으로 안전하게 지키기위한 정보보안 중요.

- 또한, IT기술 발전에 맞춰 고도화되고 단순화된 해킹프로그램으로 인해 누구나 해킹프로그램을 통해 해킹을 시도함으로써 매년 해킹사고가 점점 증가하고 있음.

- 하지만 현재의 정보시스템들은 내/외부적인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, 정보보안에 대한 전문인력의 부재로 인해 해킹사고에 대한 탐지, 분석,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해 피해규모가 증가

3. 정보보안 전망

-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2년 2월 10일 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"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"을 발표하는 등 국내 정보보호시장은 최근 3년간(2018년 ~ 2020년) 연평균 8.4%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 봤으며, 글로벌 정보보호시장 규모도 2024년까지 연평균 9.4%의 성장이 전망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.

- 사물인터넷, 클라우드 컴퓨팅, 개인용 서버, 모바일 기기 등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저장된 정보에 대한 보안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으며,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보안은 우리 생활과도 아주 밀접한 문제이며, 더욱이 국가기간시설에 대한 보안문제는 국가안보 또는 국익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전문가를 통한 보안 유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.

- 특히,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확대,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확대 등 초연결 사회로의 이행은 필연적으로 컴퓨터 보안의 수요를 강화하고 있다.

※<출처> 디지털 대전환시대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(2022년 2월 10일)